티스토리 뷰
1. Round Robin (순차 방식)
- 요청이 들어오는 순서대로 서버에 균등하게 분배한다.
- 서버들의 성능이 동일한 경우 효율적
- 알고리즘의 속도가 빠르나 경로가 보장되지 않는다.
2. Weighted Round Robin
- 가중치가 높은 서버에 더 많은 트래픽을 할당
- 서버들의 성능이 다른 경우 효율적
3. Least Connection (최소 접속 방식)
- Connection이 가장 적은 서버에 요청을 분배
- Connection을 동적으로 카운트한다.
4. Weighted Least Connection (가중치 최소접속 방식)
- 서버에 가중치를 추가한 Least Connection 알고리즘
- 서버의 성능에 따른 가중치에 따라서 트래픽을 분산
- 가중치와 Connection 연산 등으로 메모리 사용한다.
5. Fastest Response Time (응답시간 방식)
- 응답시간이 가장 빠른 서버에게 요청을 전달한다.
6. Fixed (고정 방식)
- 특정 IP와 서버를 매핑한다.
7. Hashing
- 클라이언트의 IP 등으로 Hashing 연산을 통해 요청 분산
- IP가 변하지 않는한 특정 서버로만 접속
'Development > Backen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npm의 global install 패키지의 Not found 문제 (0) | 2019.06.11 |
---|---|
MySQL Foreign Key Constraint 무시하고 테이블 삭제하기 (0) | 2019.05.03 |
Deployment Strategies (0) | 2019.03.21 |
캐싱 알고리즘(or 페이지 교체) (0) | 2019.03.12 |
node.js 와 MySQL 연결 에러 (0) | 2019.02.18 |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TAG
- Preprocessing
- Android
- #ab
- Reinforcement Learning
- p-value
- #AWS
- #handsonlab
- rl
- ausg
- Gradient descent algorithm
- MDP
- git
- Android Studio
- Reinforcement Learniing
- OS
- Algorithm
- gitgnore
- sequelize
- Confustion Matrix
- AWS
- Linux
- System
- commands
- #ausg
- 강화학습
- 통계적 가설 검정
- Memory segmetation
- MySQL
- Markov Decision Process
- branch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글 보관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