echo $[환경변수] ~/.bash_profile에 저장되어있다. SHELL : 현재 실행되고 있는 shell의 종류 확인 HOME : home 디렉토리의 경로 출력 PATH : 실행가능한 검색 경로 PWD : 현재위치의 절대 경로 PS1 : command prompt 환경변수 설정법 : N=10 타이핑 후 echo $N 하면 10이 출력됩니다. 해제는 unset N. export N 하면 다른 쉘도 사용 가능. (반드시 [Variable]=[Value] 붙여서 써야합니다.)
rm [옵션] [파일명] 파일. 디렉토리를 삭제한다. -f : 삭제를 묻지 않고 바로 삭제한다. -i : 하나하나 삭제 여부를 묻는다 -r : 하위 디렉토리, 파일 모두 삭제 -v : 삭제결과를 보여준다. rm ~.c : 확장자 형태의 모든 파일을 지운다. rm -r * : 현재 위치의 모든 파일 및 디렉토리 삭제 rm -rf, rm -rf /, rm -rf * : 이 조합 절대 사용하지 마세요. 루트 디렉토리부터 다 지워버립니다. 충공깽
Ctrl -> C Alt -> A C-x C-c : Emacs 종료 C-v : 다음 화면 A-v : 이전 화면 C-l : 커서가 있는 줄을 화면 중앙에 오게 한다. C-p : 윗 라인으로 이동 C-f : 커서 오른쪽 이동 C-b : 커서 왼쪽으로 이동 C-n : 아랫 라인으로 이동 A-f : 단어 단위로 커서 오른쪽으로 이동 A-b : 단어 단위로 커서 왼쪽으로 이동 C-a : 줄 맨 앞으로 이동, 두번 이상 실행이 안된다. C-e : 줄 맨 뒤로 이동, 두번 이상 실행이 안된다. A-a : 문장 맨 앞으로 이동 A-e : 문장 맨 뒤로 이동 A - : 문서의 끝으로 이동 C-u [숫자] [Command] : 숫자만큼 커맨드 반복 실행 C-g : 명령 취소 C-x ..
gcc [options] sourcefile 헤더 및 라이브러리 표준 경로 헤더파일 : /usr/include 정적 라이브러리 파일 : /usr/lib, /lib 컴파일 과정 a.c -> 전처리기 -> a.i -> 어셈블러 -> a.s -> 컴파일러 -> a.o -> 링커 -> a.out 컴파일 중단 옵션 -E : 전처리까지 (.i) -S : 어셈블리 생성까지 (.s) -c : 컴파일까지 (.o) 기타 옵션 -D name [= value ] : define a symbol name -g : debug 정보 포함 -I pathname : add pathname for #include files -L directory : add directory for library directories -l library.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Markov Decision Process
- #ab
- OS
- commands
- #ausg
- Gradient descent algorithm
- sequelize
- Android Studio
- Memory segmetation
- ausg
- Preprocessing
- 강화학습
- Reinforcement Learning
- Confustion Matrix
- Reinforcement Learniing
- MySQL
- System
- branch
- MDP
- gitgnore
- Algorithm
- 통계적 가설 검정
- AWS
- rl
- Android
- #AWS
- #handsonlab
- Linux
- git
- p-value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